편지로 띄우는 말씀 (2002. 6)

날마다 역사의 심판 앞에서

김영운 목사
(발행인 / 공동체성서연구원장)


       

유월이면 생각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반세기 가까운 세월이 흘렀건만 해마다 이맘때면 떠오르는 얼굴들입니다. 함께 뒷산에 올라가 놀던 친구들 가운데서 재미있게 놀던 바로 그 산에서 주검으로 누워있던, 차마 못 볼 모습들이었습니다. 유월이면 잊을 수 없는 상처들이 우리 모두에게 있습니다. 가까운 사람들을 잃은 이들에게는 더욱 절실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회한과 함께 이 때가 되면 위기감이 더욱 높아지곤 하였던가 봅니다.

그런데 금년에는 월드컵이 이 땅에서 열리면서 세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모처럼 남북 사이에 화해 분위기가 형성되기에 이 달을 평화롭게 지낼 기대를 갖고 위기 의식을 접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에게는 언제나 위기의식이 어느 만큼의 긴장과 함께 늘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오랫동안 우리 모두가 힘껏 준비해 온 월드컵이 눈앞에 다가왔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이내믹 코리아”의 박진감 넘치는 구호도 만들었습니다. 수많은 언론 매체는 물론이요, 대선 후보들도 “업그레이드 코리아”를 외칩니다. 88올림픽 이후 온 세계 사람들이 몰려오는 월드컵을 그야말로 ‘민족중흥’의 기회로 삼으려는 듯한 인상들입니다.

한국인들은 뭐든지 한 번 한다고 마음만 먹으면 한다는 사람들이라 합니다. 88올림픽 때도 준비하던 모습과는 달리 막상 개막일이 가까워 오면서부터 시민들의 태도가 확 바뀌었던 것을 아마 모두들 기억할 것입니다. 5년 전 IMF 위기 때도 온 국민이 금 모으기 운동을 비롯하여 환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나설 때 세계가 깜짝 놀라며 감탄했던 일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토록 수많은 위기를 넘길 때마다 저력을 발휘하며 세계를 놀라게 하는 우리가 어째서 위기를 넘기기가 무섭게 금방 해이해지느냐 하는 것입니다. 아직도 경제 기반이나 구조에 취약점이 남아 있다고는 하지만 남들은 10년은 걸려야 국제 환난의 위기를 극복할까 말까 하는 터에 우리는 4~5 년에 극복했다니 놀랄만한 일입니다.

아니나 다를까, 아직도 경제 개혁에 박차를 가해야 할 처지인데도 과소비 현상이 우려될 지경으로 가고 있다는 지적 또한 지나쳐 버릴 수만은 없는 문제입니다. 그러고 보면 군사 독재를 끝내고 문민 정부다 국민의 정부다 하여 이른바 대표적인 민주 투사 출신의 두 김씨가 대통령이 되고서 부정 부패와 도덕적 해이가 사회적 문제로 불거진 현실 또한 우리가 극복해야 할 또 다른 사회적 위기입니다.

모두가 있는 힘을 다 기울여 세계인의 잔치를 벌여야 할 마당에 위기감을 고조시키려 하는 말이 아닙니다. 오히려 잔치다운 잔치를 잘 치르기를 바라는 충정일뿐더러 잔치 끝에 허탈감에 빠지거나 도덕적 해이로 떨어지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우리 스스로를 다지기 위한 마음일 뿐입니다.

그동안 위기 속에 빠지기도 잘하고 헤쳐 나오기도 잘하는 사람들이란 말을 들었던 것은 지난 일로 족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세계의 선진 대열에 낀다는 것이 그리 간단치 않음을 우리는 명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위기 후의 찬스’를 살리는 예지와 결단이 없이는 안 됩니다. 참된 분별력은 위기에 대한 깊은 통찰에서만 가능합니다. 위기는 그야말로 위험과 기회가 하나의 실체로서 두 얼굴을 지니고 있는 것임을 헤아리는 것부터 시작입니다.

88올림픽을 성공적으로 마치고도 뒤따르는 ‘청문회 정국’으로 모든 이점과 상승 기운을 깎아 내렸던 어리석음을 다시는 되풀이하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온 국민이 눈에 횃불을 밝히고 오늘도 내일도 그리고 제 3일에도 역사의 심판대 앞에 서는 위기의식과 의연한 역사의식을 가지고 서야 할 것입니다. 이번에도 세계인의 잔치를 이 땅에서 치르고서도 또 다시 뒷걸음쳤다는 부끄러운 이야기를 다음 세대와 후손들에게 남기지 않으려면 바로 ‘지금 여기서’ 역사를 의식하고 행동해야 합니다. 날마다 역사의 심판 앞에 서야 마땅합니다.